안녕하세요 여러분
네트워크 성능 측정을 할때 좋다?? 나쁘다를 구분할 수 있는 기준들을 분석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.
저도 장비 모니터링을 하면서 위와 같은 수치를 굉장히 많이 접할 수 있었는데요.
단순히, 어느 정도 수치가 객관적으로 좋은 수치인지는 환경에 따라 다르겠지만, 적어도 어떻게 계산되는지 알아야 할 필요는 있지 않을까요?
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!
- 네트워크
- Throughput (T-put)
- Bandwidth (대역폭)
- 스토리지
- IOPS
- latency
1. 네트워크 - Bandwidth 란?
네트워크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전달 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양을 뜻합니다.
대역폭 = 데이터 양(Data Size) / 시간(Time)
ex) 10G 이더넷 케이블 / 32G FC 케이블
IDC 를 경험해본 분들이라면, 위와 같은 케이블을 많이 접할 수 있습니다.
1) 10G 이더넷 케이블의 경우, 초당 10 Gigabit 의 데이터 양을 전송할 수 있는 케이블 입니다. 주로, (서버-스위치) / (스위치-네트워크 장비) 연동 구간에 많이 사용됩니다.
2) 32G FC 케이블의 경우, 초당 32 Gigabit의 데이터 양을 전송할 수 있겠죠? 주로, (서버HBA 카드 - SAN 스위치) / (SAN 스위치 - 스토리지) 연동 구간에 많이 사용됩니다.
이게 얼만큼의 수치인지 가늠하기가 어렵기에, 바이트로 변환해보겠습니다.
32 기가비트는 약 4GB 로 환산할 수 있습니다. 따라서, 초당 4GB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.
즉, 4GB 짜리 영화 한편 정도는 1초만에 다운로드 할 수 있겠네요?
2. 네트워크 - Throughput 이란 ?
제 기준, Bandwidth 보다 살짝 더 감이 오지 않는데요.. 한번 같이 살펴보도록 하죠
오른쪽 축을 보시면, Average Throughput (bits/s) 로 표시 된걸 확인 하실 수 있을 겁니다.
약, 1.8 * 10^8 임을 확인할 수 있고, 이는 180 Mbps 로 환산 할 수 있습니다. (1 Mbps = 1,000,000 bps)
= 22.5MB/s
이는, 약 10GB 크기의 파일을 전송하는데, 7분 정도가 소요되는 시간 입니다.
※ IDC 기존, 1Gbps 이상의 대역폭을 제공하는 케이블들로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습니다.
병목 현상, 네트워크 혼잡 등을 고려하더라도, 위 속도는 그저그런(?) 속도라고 보여집니다.
Throughput = 총 전송된 데이터 양(bits) / 측정 시간(seconds)
https://forum.huawei.com/enterprise/en/network-latency-vs-bandwidth-vs-throughput/thread/789837-861
오늘 시간은 네트워크 성능 지표 측정은 위 수치 말고도 다양한 값들이 존재합니다.
이러한 부분은 추후 wireshark 편에서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..
스토리지 부분은 금방 업로드 하겠습니다.
오늘도 감사합니다!